🏆 랭킹 속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누리호 기술 계약으로 우주 사업 영역 확대
윤아름 기자|

25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누리호 기술이전 계약' 서명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CEO,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이상철 항우연 원장이 참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항우연과 국산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기술 이전에 관한 협약을 공식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항우연 주도로 300여 개 민간 기업이 협력해 완성한 한국형 발사체다. 이번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자체 위성 발사 능력을 보유한 전 세계 7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설계, 제조, 발사 운영 등 전 과정에 관한 기술을 이전받았다. 회사는 2032년까지 직접 발사체를 제작하고 운용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획득했다. 계약 규모는 240억 원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평가 기관의 기술 가치 평가 후 양측 합의 하에 결정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향후 항우연과 공동으로 누리호 연속 발사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발사체 개발 관련 핵심 기술과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계획이며, 교육 프로그램과 세미나도 함께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번 기술 이전을 계기로 민간 주도의 우주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우주 수송 서비스부터 위성 개발 및 서비스에 이르는 '우주 사업 가치 사슬'을 완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누리호의 기술력과 비용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상업용 발사 서비스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이번 기술 이전은 공공 분야의 성과가 민간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전환점이며, 국내 발사체 산업 경쟁력 강화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항우연 주도로 300여 개 민간 기업이 협력해 완성한 한국형 발사체다. 이번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자체 위성 발사 능력을 보유한 전 세계 7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설계, 제조, 발사 운영 등 전 과정에 관한 기술을 이전받았다. 회사는 2032년까지 직접 발사체를 제작하고 운용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획득했다. 계약 규모는 240억 원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평가 기관의 기술 가치 평가 후 양측 합의 하에 결정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향후 항우연과 공동으로 누리호 연속 발사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발사체 개발 관련 핵심 기술과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계획이며, 교육 프로그램과 세미나도 함께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번 기술 이전을 계기로 민간 주도의 우주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고, 우주 수송 서비스부터 위성 개발 및 서비스에 이르는 '우주 사업 가치 사슬'을 완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누리호의 기술력과 비용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상업용 발사 서비스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이번 기술 이전은 공공 분야의 성과가 민간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전환점이며, 국내 발사체 산업 경쟁력 강화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