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속보
리모델링 계속 vs 조합 해산… 서울 아파트 재건축 전환 논란 가열
이서연 기자|

서울 구로구 신도림동 '신도림우성2차'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을 둘러싸고 조합원들 사이에 의견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는 리모델링 조합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조합 해산을 요구하며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4일 부동산 업계 소식에 따르면, 신도림우성2차 리모델링 조합은 최근 총회를 열어 사업 계속 여부를 묻는 투표를 실시했다. 개표 결과 '조합 해산' 반대표가 '조합 유지' 찬성표보다 4표 더 많았으나, 부결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 A씨는 "투표 요건 충족 여부에 대해 이견이 존재해 결과의 유효성은 아직 불확실하다"며 "과반수 참여와 과반수 찬성이라는 의결 조건을 충족했는지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신도림우성2차 아파트는 구로구 신도림동 639번지에 3개동 239가구 규모로 1996년에 완공됐다. 이 단지는 신도림우성1차와 함께 2018년 서울형 리모델링 시범단지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21년에는 GS건설이 통합 리모델링 시공사로 확정된 상태다.
최근 들어 리모델링 조합 해산 움직임이 여러 단지에서 포착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성원대치2차'는 9월 중 재건축 전환을 논의할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성동구 응봉동 '응봉대림1차'도 리모델링 조합 해산 절차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후자의 경우 재건축추진위원회와 협력해 새 조합 설립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리모델링 사업 지연으로 인해 재건축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이미 투입된 비용 문제로 인해 조합 해산 결정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 관계자는 "과거 리모델링이 빠른 시공이 장점이었으나, 장기화된 사업 과정에서 완공 단지는 적다"며 "기존 사업비 분담 문제 등이 해산 결정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4일 부동산 업계 소식에 따르면, 신도림우성2차 리모델링 조합은 최근 총회를 열어 사업 계속 여부를 묻는 투표를 실시했다. 개표 결과 '조합 해산' 반대표가 '조합 유지' 찬성표보다 4표 더 많았으나, 부결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 A씨는 "투표 요건 충족 여부에 대해 이견이 존재해 결과의 유효성은 아직 불확실하다"며 "과반수 참여와 과반수 찬성이라는 의결 조건을 충족했는지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신도림우성2차 아파트는 구로구 신도림동 639번지에 3개동 239가구 규모로 1996년에 완공됐다. 이 단지는 신도림우성1차와 함께 2018년 서울형 리모델링 시범단지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21년에는 GS건설이 통합 리모델링 시공사로 확정된 상태다.
최근 들어 리모델링 조합 해산 움직임이 여러 단지에서 포착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성원대치2차'는 9월 중 재건축 전환을 논의할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성동구 응봉동 '응봉대림1차'도 리모델링 조합 해산 절차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후자의 경우 재건축추진위원회와 협력해 새 조합 설립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리모델링 사업 지연으로 인해 재건축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이미 투입된 비용 문제로 인해 조합 해산 결정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 관계자는 "과거 리모델링이 빠른 시공이 장점이었으나, 장기화된 사업 과정에서 완공 단지는 적다"며 "기존 사업비 분담 문제 등이 해산 결정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