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플립7 30만원 할인 구매 성공"…단통법 폐지 후 통신사 간 경쟁 본격화
고성민 기자|

'기기 반납 시 70만원 환급', '폴드7·플립7 구매 고객에게 가전제품 증정' 등의 문구가 적힌 홍보물이 서울 서초구 국제전자센터와 주변 휴대폰 매장에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 공식 폐지된 22일, 각 매장들은 파격적인 할인 혜택을 앞다퉈 내세웠다. 법 개정으로 인해 통신사 공시지원금의 15% 한도가 사라지면서 매장별 자율적인 지원금 설정이 가능해진 결과다.
국제전자센터 내 A매장에서는 갤럭시Z 폴드7을 183만원, 플립7을 98만원에 판매 중이었으나, 같은 건물 내 B매장에서는 각각 138만원, 49만원으로 더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 인근 다른 매장에서는 폴드7 69만원, 플립7 14만원 등 더 큰 폭의 할인가를 적용하기도 했다. 현장 관계자 C씨는 "8월 초부터 가격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 대부분의 매장에서 할인 혜택 제공 시 부수적인 조건을 부과하고 있다. 월 9만~11만원대 고요금제를 6개월 이상 사용 후에만 요금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2년 약정 기간 동안 월 6,500~13,000원의 휴대폰 보험료 납부를 의무화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11년간 시장 규제 역할을 해온 단통법의 폐지로 통신사와 유통업체 간 지원금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통신비 절감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이탈 상황에서 단통법 폐지가 3사 간 경쟁을 더욱 과열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갤럭시S25를 마이너스 50만원에 구매", "플립7을 30만원 할인받아 샀다"는 등의 체험담이 활발히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지원금 격차 확대로 인해 정보 접근성이 낮은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 혜택에서 배제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과거 정보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제정된 단통법이 사라지면서 관련 우려가 재점화된 것이다. 지역·연령·신체 조건에 따른 차별 금지 규정은 유지되나 실제 준수 여부는 불확실하다.
전문가들은 복잡해진 지원금 시스템에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계약서 세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권고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이동통신 3사의 신규 계약서 서식 교육 현황을 점검하는 등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글·사진=양윤선 기자 이대통령 “국민 죽어간 현장서 음주가무 즐긴 정신나간 공직자 엄히 단속”가족·친인척 살인 피해자 60% 이상 증가…늘어나는 패륜 범죄코스피 장중 연고점 또 경신…최고치 나스닥 따라 상승세[속보] 대통령실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임명 강행 수순신입 초봉 ‘이 직무’ 최저…연구개발보다 600만원 낮아오늘 ‘단통법’ 폐지…이통3사 보조금 전쟁 현실화할까?도쿄에 젝시믹스, 시드니에 안다르… 세계로 향하는 K애슬레저춤추는 그녀들에게 빠졌다… 세계 홀린 ‘월드 오브 스우파’원더걸스 혜림 가족, 서울시 저출생 대책 홍보대사 됐다여당 실력행사·끝없는 강선우 논란… ‘이재명표 실용인사’ 고비▶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국제전자센터 내 A매장에서는 갤럭시Z 폴드7을 183만원, 플립7을 98만원에 판매 중이었으나, 같은 건물 내 B매장에서는 각각 138만원, 49만원으로 더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 인근 다른 매장에서는 폴드7 69만원, 플립7 14만원 등 더 큰 폭의 할인가를 적용하기도 했다. 현장 관계자 C씨는 "8월 초부터 가격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 대부분의 매장에서 할인 혜택 제공 시 부수적인 조건을 부과하고 있다. 월 9만~11만원대 고요금제를 6개월 이상 사용 후에만 요금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2년 약정 기간 동안 월 6,500~13,000원의 휴대폰 보험료 납부를 의무화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11년간 시장 규제 역할을 해온 단통법의 폐지로 통신사와 유통업체 간 지원금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통신비 절감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이탈 상황에서 단통법 폐지가 3사 간 경쟁을 더욱 과열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갤럭시S25를 마이너스 50만원에 구매", "플립7을 30만원 할인받아 샀다"는 등의 체험담이 활발히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지원금 격차 확대로 인해 정보 접근성이 낮은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 혜택에서 배제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과거 정보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제정된 단통법이 사라지면서 관련 우려가 재점화된 것이다. 지역·연령·신체 조건에 따른 차별 금지 규정은 유지되나 실제 준수 여부는 불확실하다.
전문가들은 복잡해진 지원금 시스템에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계약서 세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권고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이동통신 3사의 신규 계약서 서식 교육 현황을 점검하는 등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글·사진=양윤선 기자 이대통령 “국민 죽어간 현장서 음주가무 즐긴 정신나간 공직자 엄히 단속”가족·친인척 살인 피해자 60% 이상 증가…늘어나는 패륜 범죄코스피 장중 연고점 또 경신…최고치 나스닥 따라 상승세[속보] 대통령실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임명 강행 수순신입 초봉 ‘이 직무’ 최저…연구개발보다 600만원 낮아오늘 ‘단통법’ 폐지…이통3사 보조금 전쟁 현실화할까?도쿄에 젝시믹스, 시드니에 안다르… 세계로 향하는 K애슬레저춤추는 그녀들에게 빠졌다… 세계 홀린 ‘월드 오브 스우파’원더걸스 혜림 가족, 서울시 저출생 대책 홍보대사 됐다여당 실력행사·끝없는 강선우 논란… ‘이재명표 실용인사’ 고비▶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