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 속보
이란 핵시설 '포르도' 지하 80m에 위치…美 벙커버스터 없이는 공격 불가능
한지민 기자|

이스라엘이 다음 공격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있는 이란 포르도 핵시설은 지하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미국의 벙커버스터 사용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포르도 핵시설은 테헤란에서 160㎞, 곰에서 32㎞ 떨어진 험준한 산악 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이 시설은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란 혁명수비대 정예부대와 러시아제 지대공 미사일로 방어되고 있어 공격이 매우 까다롭다.
이 시설에는 고순도 우라늄 농축에 필수적인 원심분리기가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탄즈 핵시설이 저농도 우라늄을 보관하는 반면, 포르도에서는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고농도 우라늄이 대량 저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23년 이곳에서 83.7% 순도의 농축 우라늄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했다. 이는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90%에 근접한 수치로, 해당 물질로 3주 내에 핵탄두 9기를 제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스라엘이 13일 이란을 공격한 이후 아직 포르도를 타격하지 않은 것은 적절한 공격 수단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포르도 핵시설은 지하 80∼90m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나탄즈 시설(지하 8m)보다 훨씬 깊다. 또한 석회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된 단단한 암반 지대여서 일반 토양 지역보다 미사일 관통이 더욱 어렵다.
현재 지상군이나 특수부대 없이 공중폭격만으로 이 시설을 파괴할 수 있는 유일한 재래식 무기는 미국의 벙커버스터다. 미군의 'GBU-57' 벙커버스터는 길이 6.2m, 중량 13.6t에 달하며, 200g 다이너마이트 1만2000발에 해당하는 폭발력을 지닌다. 이 무기는 지하 벙커에 소형 핵폭탄 수준의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레이더와 GPS를 이용한 정밀 타격이 가능하다. 현재 B-2 스텔스 폭격기에만 탑재할 수 있는 GBU-57의 최대 관통 깊이는 60m로, 포르도 시설을 완전히 파괴하려면 동일 지점에 2발 이상 투하해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B-2 폭격기는 한 번에 GBU-57 크기의 폭탄 2발을 동시에 투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포르도 핵시설은 테헤란에서 160㎞, 곰에서 32㎞ 떨어진 험준한 산악 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이 시설은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란 혁명수비대 정예부대와 러시아제 지대공 미사일로 방어되고 있어 공격이 매우 까다롭다.
이 시설에는 고순도 우라늄 농축에 필수적인 원심분리기가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탄즈 핵시설이 저농도 우라늄을 보관하는 반면, 포르도에서는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고농도 우라늄이 대량 저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23년 이곳에서 83.7% 순도의 농축 우라늄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했다. 이는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90%에 근접한 수치로, 해당 물질로 3주 내에 핵탄두 9기를 제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스라엘이 13일 이란을 공격한 이후 아직 포르도를 타격하지 않은 것은 적절한 공격 수단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포르도 핵시설은 지하 80∼90m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나탄즈 시설(지하 8m)보다 훨씬 깊다. 또한 석회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된 단단한 암반 지대여서 일반 토양 지역보다 미사일 관통이 더욱 어렵다.
현재 지상군이나 특수부대 없이 공중폭격만으로 이 시설을 파괴할 수 있는 유일한 재래식 무기는 미국의 벙커버스터다. 미군의 'GBU-57' 벙커버스터는 길이 6.2m, 중량 13.6t에 달하며, 200g 다이너마이트 1만2000발에 해당하는 폭발력을 지닌다. 이 무기는 지하 벙커에 소형 핵폭탄 수준의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레이더와 GPS를 이용한 정밀 타격이 가능하다. 현재 B-2 스텔스 폭격기에만 탑재할 수 있는 GBU-57의 최대 관통 깊이는 60m로, 포르도 시설을 완전히 파괴하려면 동일 지점에 2발 이상 투하해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B-2 폭격기는 한 번에 GBU-57 크기의 폭탄 2발을 동시에 투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