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부산 가는 비용으로 일본 3번 여행 가능…항공권 가격이 KTX보다 저렴해
신채영 기자|

온라인 여행업체 트립닷컴은 최근 초저가 항공권 판매를 개시했다. 7일에는 서울에서 도쿄, 오사카, 오키나와 등 일본 주요 도시로 가는 편도 항공권을 1만7000원에 판매했으며, 9일에는 서울-제주 왕복권을 7700원에 제공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주요 노선의 승객 수가 급감하면서 항공사들이 가격 인하를 통해 좌석 판매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라졌던 초특가 항공권이 다시 등장한 배경에는 여행 수요의 급변동이 있다. 팬데믹 기간 여행을 못했던 소비자들의 보복적 소비로 항공 수요가 급증했으나, 올해 들어 크게 감소한 상황이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하나투어는 8일부터 10일까지 '메가핫딜'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일본 주요 도시 왕복권은 10만원대, 동남아시아 지역(보홀, 냐짱 등)은 20만원대에 판매됐다. 놀유니버스는 진에어와 협업해 괌 행 할인 항공권을 출시했으며, 9월 인천 출발 직항 왕복권이 10만원대 후반부터 20만원대 초반 가격에 제공되고 있다.
저가 항공사들도 적극적으로 할인 행사를 펼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13일까지 유럽, 중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취항 노선에 대해 최대 20% 할인을 실시 중이다. 에어부산도 9일부터 최대 98%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일본 등 단거리 노선은 대부분 10만원 미만, 대만과 말레이시아 등 중거리 노선은 10만원대에 판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특가 항공권은 수량이 제한적이거나 출발이 임박한 경우에 제공되지만, 최근에는 수량이 풍부하고 출발일이 2~3개월 이상 남은 항공권도 포함되어 주목받고 있다. 일부 항공사와 여행사는 적자 운영을 감수하면서도 좌석 판매에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초저가 항공권 양산의 주요 원인은 수요 감소다. 작년 말 비상계엄 사태와 제주항공 사고, 경제 불황 등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항공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해외 출국자 증가율도 올들어 급격히 둔화되었는데, 1월 7.3%에서 4월에는 1.8%로 떨어졌다.
최근 한 만화가의 일본 대지진 예측이 화제가 되면서 일본 여행 수요가 더욱 위축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지난해 한국인 해외 방문객의 30.1%를 차지한 최대 인기 목적지였으나, 일부 여행객들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 대체지로 변경하거나 아예 해외여행 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안재광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라졌던 초특가 항공권이 다시 등장한 배경에는 여행 수요의 급변동이 있다. 팬데믹 기간 여행을 못했던 소비자들의 보복적 소비로 항공 수요가 급증했으나, 올해 들어 크게 감소한 상황이다.
여행업계에 따르면, 하나투어는 8일부터 10일까지 '메가핫딜'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일본 주요 도시 왕복권은 10만원대, 동남아시아 지역(보홀, 냐짱 등)은 20만원대에 판매됐다. 놀유니버스는 진에어와 협업해 괌 행 할인 항공권을 출시했으며, 9월 인천 출발 직항 왕복권이 10만원대 후반부터 20만원대 초반 가격에 제공되고 있다.
저가 항공사들도 적극적으로 할인 행사를 펼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13일까지 유럽, 중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취항 노선에 대해 최대 20% 할인을 실시 중이다. 에어부산도 9일부터 최대 98%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일본 등 단거리 노선은 대부분 10만원 미만, 대만과 말레이시아 등 중거리 노선은 10만원대에 판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특가 항공권은 수량이 제한적이거나 출발이 임박한 경우에 제공되지만, 최근에는 수량이 풍부하고 출발일이 2~3개월 이상 남은 항공권도 포함되어 주목받고 있다. 일부 항공사와 여행사는 적자 운영을 감수하면서도 좌석 판매에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초저가 항공권 양산의 주요 원인은 수요 감소다. 작년 말 비상계엄 사태와 제주항공 사고, 경제 불황 등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항공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해외 출국자 증가율도 올들어 급격히 둔화되었는데, 1월 7.3%에서 4월에는 1.8%로 떨어졌다.
최근 한 만화가의 일본 대지진 예측이 화제가 되면서 일본 여행 수요가 더욱 위축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지난해 한국인 해외 방문객의 30.1%를 차지한 최대 인기 목적지였으나, 일부 여행객들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 대체지로 변경하거나 아예 해외여행 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안재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