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뒤에서 덮친다"…번식기 큰부리까마귀 공격 증가, 대처법은?
임현우 기자|

ⓒ News1 김영운·나혜윤 기자 = 환경부는 25일 번식기로 예민해진 큰부리까마귀의 공격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시민 안전을 위한 행동 수칙을 발표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환경부 설명에 따르면, 도심지 인근 공원에서 서식하는 큰부리까마귀들이 쓰레기 수거 행위나 둥지 근접 시 인간을 공격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 정착해 사는 텃새인 큰부리까마귀는 몸길이 57cm 정도로 국내 까마귀 종 중 최대 크기를 자랑한다. 전신이 검은색에 광택이 나며, 크고 굽은 윗부리가 특징적이다. 특히 이마와 부리가 직각에 가까울 정도로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들의 공격은 주로 번식기인 5월부터 7월 사이에 발생하며, 이는 새끼들이 둥지를 떠나는 시기와 맞물린다. 부모 새들이 알이나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본능적 행동으로, 인간이 둥지 주변이나 어린 새 근처에 접근할 때 공격이 이루어진다.
안전을 위해 시민들은 우선 까마귀 둥지나 새끼가 있는 지역을 피하고, 해당 구역을 통과할 경우 신속히 이동하는 것이 좋다. 공격 시 주로 머리를 표적으로 삼기 때문에 우산이나 모자 등으로 두부를 보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막대기를 휘두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 위협적인 행동은 오히려 공격을 부추길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까마귀 공격으로 인한 피해 발생 시에는 119안전센터나 지역 환경 당국에 신고해야 하며, 부상 시 즉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신고 시 정확한 위치 정보(둥지 또는 새끼 발견 장소, 피해 발생지)와 피해 내용을 상세히 전달하는 것이 추가 피해 방지에 도움이 된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도시 지역 큰부리까마귀의 서식 현황과 피해 사례를 조사한 후 안내판 설치 등 예방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대응 매뉴얼을 제작해 관련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도심으로 야생동물 서식지가 확대되면서 인간과의 마찰이 증가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공존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Copyright ⓒ 뉴스1.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환경부 설명에 따르면, 도심지 인근 공원에서 서식하는 큰부리까마귀들이 쓰레기 수거 행위나 둥지 근접 시 인간을 공격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 정착해 사는 텃새인 큰부리까마귀는 몸길이 57cm 정도로 국내 까마귀 종 중 최대 크기를 자랑한다. 전신이 검은색에 광택이 나며, 크고 굽은 윗부리가 특징적이다. 특히 이마와 부리가 직각에 가까울 정도로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들의 공격은 주로 번식기인 5월부터 7월 사이에 발생하며, 이는 새끼들이 둥지를 떠나는 시기와 맞물린다. 부모 새들이 알이나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본능적 행동으로, 인간이 둥지 주변이나 어린 새 근처에 접근할 때 공격이 이루어진다.
안전을 위해 시민들은 우선 까마귀 둥지나 새끼가 있는 지역을 피하고, 해당 구역을 통과할 경우 신속히 이동하는 것이 좋다. 공격 시 주로 머리를 표적으로 삼기 때문에 우산이나 모자 등으로 두부를 보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막대기를 휘두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 위협적인 행동은 오히려 공격을 부추길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까마귀 공격으로 인한 피해 발생 시에는 119안전센터나 지역 환경 당국에 신고해야 하며, 부상 시 즉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신고 시 정확한 위치 정보(둥지 또는 새끼 발견 장소, 피해 발생지)와 피해 내용을 상세히 전달하는 것이 추가 피해 방지에 도움이 된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도시 지역 큰부리까마귀의 서식 현황과 피해 사례를 조사한 후 안내판 설치 등 예방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대응 매뉴얼을 제작해 관련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도심으로 야생동물 서식지가 확대되면서 인간과의 마찰이 증가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공존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Copyright ⓒ 뉴스1.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