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주택가격·가계대출 억제 위해 한국은행, 기준금리 2.50% 유지 결정(종합)
고성민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0일 하반기 첫 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급등하고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시장 과열을 부추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이번 결정으로 인해 가계대출 규제 효과와 미국 연준(FOMC)의 금리 정책 방향, 추가경정예산 실행 상황 등을 점검할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게 됐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0월 0.25%p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완화 정책을 이어왔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동결과 인하를 반복하며 경기 부양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시장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뚜렷해지면서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이 불가피해졌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6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43% 상승하며 2018년 9월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계대출도 지난달 금융권 전체에서 6조5천억원 늘어나며 8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5월 "급격한 금리 인하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한 바 있다. 이번 결정에는 한미 금리차 확대와 정부의 재정 정책 효과도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8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반면, 다른 전문가들은 10월 경 추가 조정을 예상하기도 한다.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 영향 등 경제 성장률 전망이 낮아진 점을 고려할 때, 주택시장이 안정되면 다시금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한 주요 기관들은 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한 상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했다.
금통위는 이번 결정으로 인해 가계대출 규제 효과와 미국 연준(FOMC)의 금리 정책 방향, 추가경정예산 실행 상황 등을 점검할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게 됐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0월 0.25%p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완화 정책을 이어왔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동결과 인하를 반복하며 경기 부양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시장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뚜렷해지면서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이 불가피해졌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6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43% 상승하며 2018년 9월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계대출도 지난달 금융권 전체에서 6조5천억원 늘어나며 8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5월 "급격한 금리 인하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한 바 있다. 이번 결정에는 한미 금리차 확대와 정부의 재정 정책 효과도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8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반면, 다른 전문가들은 10월 경 추가 조정을 예상하기도 한다.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 영향 등 경제 성장률 전망이 낮아진 점을 고려할 때, 주택시장이 안정되면 다시금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한 주요 기관들은 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한 상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