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속보
2026년 최저시급 1만 320원 확정...월급은 얼마일까?
최예나 기자|

📊 주요 경제지표 한눈에 보기 7.11 종가
📉 코스피 지수
3,175.77 (-0.23%)
📈 코스닥 지수
800.47 (+0.35%)
📈 원달러 환율
1,375.90 (+0.25%) *오후 3시 30분 기준
2026년 최저시급 1만 320원 확정...월급은 얼마일까? 💸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 32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는 올해 대비 290원(2.9%) 인상된 수치입니다. 표준 월 근무시간인 209시간을 적용하면 월 최저임금은 215만 6,880원이 됩니다. 올해 1.7% 인상률보다는 높지만, 역대 정부 초임기 인상률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특기할 만한 점은 이번 결정이 2008년 이후 127년 만에 노동자, 사용자, 공익위원이 모두 동의한 합의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코스피, 3,200점 돌파 후 소폭 조정 📈
코스피 지수가 3년 10개월 만에 3,200점을 돌파하며 연중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갱신했습니다. 장중에는 3,216.69까지 상승했으나, 급격한 상승에 따른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결국 소폭 하락한 상태로 마감했습니다. 이로 인해 4거래일 연속 이어졌던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주춤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서두르지 않으면 기회 놓친다'는 공포감 확산 🏠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으로 인해 첫 주택 구입을 계획하는 무주택자들의 거래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서울에서 아파트,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을 처음 구매한 인원은 7,178명으로, 5월(5,962명) 대비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4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치입니다. 특히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올해 들어 7~8% 상승하면서 '지금 사지 않으면 영영 못 산다'는 불안감(FOMO)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7월부터 주택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규제 적용 전 서두르는 수요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7월 상순 수출, 반도체·선박 호조로 증가세 🚢
7월 1~10일 동안 우리나라 수출액은 194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요 수출품목의 호조 덕분입니다. 특히 선박 수출은 134.9%라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반도체는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호조를 이어갔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EU)으로의 전기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분야도 좋은 성적을 냈습니다. 반면 석유제품과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부진했으며, 수입이 수출을 약간 상회하면서 6억 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최저임금, #주식시장, #주택시장, #무역동향
📉 코스피 지수
3,175.77 (-0.23%)
📈 코스닥 지수
800.47 (+0.35%)
📈 원달러 환율
1,375.90 (+0.25%) *오후 3시 30분 기준
2026년 최저시급 1만 320원 확정...월급은 얼마일까? 💸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 320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는 올해 대비 290원(2.9%) 인상된 수치입니다. 표준 월 근무시간인 209시간을 적용하면 월 최저임금은 215만 6,880원이 됩니다. 올해 1.7% 인상률보다는 높지만, 역대 정부 초임기 인상률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특기할 만한 점은 이번 결정이 2008년 이후 127년 만에 노동자, 사용자, 공익위원이 모두 동의한 합의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코스피, 3,200점 돌파 후 소폭 조정 📈
코스피 지수가 3년 10개월 만에 3,200점을 돌파하며 연중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갱신했습니다. 장중에는 3,216.69까지 상승했으나, 급격한 상승에 따른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결국 소폭 하락한 상태로 마감했습니다. 이로 인해 4거래일 연속 이어졌던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주춤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서두르지 않으면 기회 놓친다'는 공포감 확산 🏠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으로 인해 첫 주택 구입을 계획하는 무주택자들의 거래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서울에서 아파트,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을 처음 구매한 인원은 7,178명으로, 5월(5,962명) 대비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4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치입니다. 특히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올해 들어 7~8% 상승하면서 '지금 사지 않으면 영영 못 산다'는 불안감(FOMO)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7월부터 주택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규제 적용 전 서두르는 수요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7월 상순 수출, 반도체·선박 호조로 증가세 🚢
7월 1~10일 동안 우리나라 수출액은 194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요 수출품목의 호조 덕분입니다. 특히 선박 수출은 134.9%라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반도체는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호조를 이어갔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EU)으로의 전기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분야도 좋은 성적을 냈습니다. 반면 석유제품과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부진했으며, 수입이 수출을 약간 상회하면서 6억 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최저임금, #주식시장, #주택시장, #무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