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소비쿠폰으로 한우 사먹을까?"…재난지원금 때와 비슷한 가격 급등 우려
임현우 기자|

평창 대관령 한우 소비 활성화를 위한 대형 소비쿠폰 발급이 소고기를 비롯한 축산물 가격 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020년 1차 재난지원금 지급 후 한우 값이 10% 이상 치솟았던 사례가 있었으며, 올해 6월에도 축산물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4.3% 상승하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자료에 의하면, 2020년 6월 초 한우 등심 소매가격은 킬로그램당 10만290원으로 사상 처음 10만원 선을 넘어섰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0% 이상 급격한 상승이었다. 당시 3월부터 5월까지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6월 한 달 동안 3.5% 가량 추가 상승했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2020년 소고기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은 전 국민 대상 재난지원금이었다. 5월 중순 지급된 1차 지원금은 소득 하위 70% 가구에 최대 100만원까지 지급되며 소비 촉진을 목표로 했으나, 실제로는 한우 구매 증가로 이어졌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집에서의 식사 증가도 영향을 미쳤지만, 일시적으로 늘어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한우 수요로 직결되며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현재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소비쿠폰 정책은 규모와 방식에서 2020년 재난지원금과 유사한 점이 많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최근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켰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7월 중 쿠폰 지급을 위해 최대한 신속히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이미 상승한 축산물 가격이 소비쿠폰 영향으로 더욱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축산물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치다.
축산업계 관계자는 "지원금이나 쿠폰이 지급될 때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품목이 소고기라는 것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라며 "한우는 심리적으로 고급 소비재로 인식되어 현금 지원 정책 시행 시 가격 변동이 즉각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축산물 가격 급등 방지를 위해 다각도의 대책을 마련 중이다. 주요 조치로는 ▷정부 비축물량 유동적 방출 ▷도매시장 경매 물량 조정 ▷소비쿠폰 연계 할인 프로모션 확대 ▷수입량 증가 및 할당관세 도입 검토 등이 포함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재 축산물 수급관리협의회를 통해 주요 육류의 공급 현황을 매주 점검하며, 쿠폰 시행에 대비한 추가 조치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자료에 의하면, 2020년 6월 초 한우 등심 소매가격은 킬로그램당 10만290원으로 사상 처음 10만원 선을 넘어섰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0% 이상 급격한 상승이었다. 당시 3월부터 5월까지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6월 한 달 동안 3.5% 가량 추가 상승했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2020년 소고기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은 전 국민 대상 재난지원금이었다. 5월 중순 지급된 1차 지원금은 소득 하위 70% 가구에 최대 100만원까지 지급되며 소비 촉진을 목표로 했으나, 실제로는 한우 구매 증가로 이어졌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집에서의 식사 증가도 영향을 미쳤지만, 일시적으로 늘어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한우 수요로 직결되며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현재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소비쿠폰 정책은 규모와 방식에서 2020년 재난지원금과 유사한 점이 많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최근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켰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7월 중 쿠폰 지급을 위해 최대한 신속히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이미 상승한 축산물 가격이 소비쿠폰 영향으로 더욱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축산물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치다.
축산업계 관계자는 "지원금이나 쿠폰이 지급될 때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품목이 소고기라는 것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라며 "한우는 심리적으로 고급 소비재로 인식되어 현금 지원 정책 시행 시 가격 변동이 즉각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축산물 가격 급등 방지를 위해 다각도의 대책을 마련 중이다. 주요 조치로는 ▷정부 비축물량 유동적 방출 ▷도매시장 경매 물량 조정 ▷소비쿠폰 연계 할인 프로모션 확대 ▷수입량 증가 및 할당관세 도입 검토 등이 포함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재 축산물 수급관리협의회를 통해 주요 육류의 공급 현황을 매주 점검하며, 쿠폰 시행에 대비한 추가 조치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